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실무

챗지피티 SEO 활용방법? (ft. 쳇지피티 SEO, 챗지피티 시장조사, 챗지피티 코딩, ChatGPT 코딩)

728x90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마케팅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지 테스트해 본 결과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전 타겟 시장에 대한 분석은 필수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타겟 시장에 대한 분석을 할 경우, 페르소나, SWOT분석, SMART 목표 수립 등 다양한 프레임워크를 갖고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마케팅팀에서 직접 시장조사하거나 혹은 시장조사를 대신해 주는 리서치펌에 의뢰한다. 하지만 이제 시장조사에 마케팅 예산과 리소스를 들이지 않고, 챗지피티에게 맡기면 된다.  

시장조사 리서치펌이 아닌 ChatGPT (챗지피티)에게!

페르소나 생성? 

ChatGPT(챗지피티) 페르소나까지 만들어준다. 당근마켓에 대한 페르소나 만들어줘라고 입력값을 주고 테스트해봤다. 4가지 타겟유저 페르소나로 정의했는데, 지역민 마켓 쇼퍼, 중고거래 유저, 취미 전문가, 비즈니스 유저 크게 4가지 타겟 그룹을 생성했고 그에 따른 세부 페르소나 정보까지 보여준다. ChatGPT(챗지피티) 잘 활용한다면 마케터는 성과를 10배 향상하고 크리에이티브한 업무에 집중해 생산성 높일 수 있을 것만 같다. 

챗지피티로 당근마켓 페르소나 만들어줘라고 입력함
챗지피티로 당근마켓 페르소나

SWOT 분석

브랜드 또는 경쟁 분석에도 사용할 수 있는데, 모든 회사의 SWOT 분석을 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예를 들어 보자면 당근마켓 SWOT 분석해줘라고 입력하면 흥미로운 대답을 얻을 수 있다. 
 
챗지피티로 당근마켓 SWOT 분석
챗지피티로 당근마켓 SWOT 분석
 

SMART 목표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기 위한 명확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기 때문에 SMART 목표를 세우는 것은 마케팅에서 중요하다. SMART 목표 또한 ChatGPT(챗지피티)를 사용해 얻고자하는 회사에 대한 아이디어를 참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hatGPT(챗지피티) SMART 목표를 입력해보자. 
챗지피티로 당근마켓 SMART 목표
챗지피티로 당근마켓 SMART 목표
 

챗지피티 SEO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ChatGPT 코딩)

1. FAQ 스키마 생성

제공한 텍스트 기반으로 챗지피티가 FAQ 스키마 코드까지 생성할 수 있어 테스트해보았다. 와.. 완전 똑똑한데? CMS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플러그인이 없는 Wix의 경우 스키마 코드를 html 편집기에 복사해 붙여 넣어 사용하면 너무나 편리할 듯하다. 

2. Robots.txt 규칙 만들기

SEO를 다루는 마케터라면 robots.txt를 보통 많이 접하는데 챗지피티를 사용해 robots.txt 규칙을 쉽게 만들 수 있다. 구글봇은 랜딩/디렉토리에 있는 PPC 캠페인 랜딩 페이지 크롤링하는데, 크롤링 방지하도록 robots.txt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글 일반 봇이 아닌 오롯이 구글 광고 봇이 이 랜딩을 크롤링 허용하도록 Robots.txt를 만들어달라고 하면 아래처럼 생성해 준다.

챗지피티로 만든 robots.txt
챗지피티로 만든 robots.txt

3. 챗지피티 API 연결

마케터들은 다양한 API에 연결해 데이터를 가져와야 하는 경우가 있지만 개발자가 아니기에 기술적인 도움을 요청하는 편이다. 이제 개발자 없이 챗지피티가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특정 라이브러리 사용해 구글 키워드 제안을 해줘라고 요청하면 관련된 키워드 쿼리를 뽑아주기도 한다.

 

챗지피티 API 연결까지 해준다는 건 이제 알겠지만, 이걸 왜 해야 하는지 

유저가 웹사이트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자 지정 전환을 설정하는 경우가 있다. 

  • 예시 1) 유저가 전체 페이지의 20% 스크롤했을 때, 팝업을 노출
  • 예시 2) 유저가 '다운로드' 클릭했을 때, 프로모션 내용 노출
  • 예시 3) 유저가 동영상 플레이를 클릭하고 15% 이상 시청했을 때, 다른 동영상을 추가 노출

CRM마케터 이제 개발자 도움 필요 없다.

유저에게 특정 액션을 유도해 웹사이트의 잔존율을 높이거나 OMTM까지 도달토록 하는 것이 CRM마케터의 역할이다. 그동안 유저 퍼널에 맞는 이벤트 기획은 CRM 마케터가, 그에 따라 개발해 주는 작업은 프론트앤드나 백앤드 개발자의 역할이었다. 종종 개발자 도움을 받기 어려운 상황도 발생하는데 직접 개발할 수 있는 CRM 마케터는 업계에서 보기 드물다. 물론 GTM(구글 태그매니저) 등 이를 도와주는 툴을 사용할 수 있지만, GTM에서 모든 기능을 제공하지는 않기에 개발자의 도움이 필요하다.

개발자 없이 전환 이벤트 설정 가능

예를 들어 랜딩페이지에 도달하고, 페이지의 60% 스크롤 시, 전환 이벤트를 보내고자 한다면 챗지피티로도 가능하다. 페이지 스크롤 60% 도달하면, 페이스북 픽셀 전환이벤트를 보내줘라고 입력하면 페이스북 픽셀 이벤트를 실행하는 JavaScript코드를 만들어준다.

 

챗지피티로 페이스북 픽셀 전환이벤트 JavaScript 코드 생성
챗지피티로 페이스북 픽셀 전환이벤트 JavaScript 코드 생성

 

이를 HTML <head>태그 안에 붙여 넣으면 바로 작동된다. 마케터는 유저의 액션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A/B테스팅을 하기도 하고, 이에 따라 이벤트 작업도 함께 따라온다. 그동안 개발팀에 요청했다면 챗지피티의 도움을 받아 마케터가 직접 실행할 수 있게 된다니 얼마나 신세계인가. 마케팅에 접목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어떻게 마케팅 업무를 좀 더 효율적으로, 생산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지 ChatGPT 챗지피티 마케팅 활용방법 글을 참고해 보길 바란다. 

 

반응형